소한(小寒): 겨울의 시작과 전통



소한(小寒): 겨울의 시작과 전통

2023년 1월 6일은 24절기 중 하나인 소한으로, ‘작은 추위’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시기는 겨울철 가장 추운 시기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속담을 통해 그 추위를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소한의 기후적 특징

소한의 의미와 속담

소한은 겨울의 중간 지점으로, ‘대한(大寒)’보다 더 추운 날이 많습니다. 속담 중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는 소한의 추위가 얼마나 매서운지를 잘 보여줍니다. 중국 황하 유역의 기후를 기준으로 설정된 24절기에서 우리나라의 실제 기온 차이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겨울철 대비

조상들은 소한부터 입춘 전까지의 혹한기에 대비하여 음식과 필수 물품을 미리 준비했습니다. 특히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에서는 외출이 어려우므로, 땔감과 음식을 충분히 비축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소한과 역대 최저 기온

한국의 최저 기온

대한민국의 역대 최저 기온은 1981년 1월 5일에 기록된 영하 32.6도로, 경기도 양평에서 관측되었습니다. 이 날은 소한에 해당하며, 이후로도 이 기록은 깨지지 않고 있습니다. 서울의 경우, 1927년 12월 31일에 영하 23.1도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순위 지역 기온(°C) 날짜
1 양평군 -32.6 1981년 1월 5일
2 양평군 -30.0 1981년 1월 3일
3 양평군 -30.0 1981년 1월 4일
4 양평군 -30.0 1981년 1월 6일
5 서울 -23.1 1927년 12월 31일

기온 변화와 영향

남부 지방에서는 영하의 기온만으로도 춥다고 느끼는 반면, 서울에서는 영하 10도를 넘어가면 ‘기록적인 한파’라는 표현이 따라옵니다. 이러한 기온은 지구의 평균 기온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낮은 수치입니다.

24절기의 정의와 특징

절기의 개념

24절기는 태양의 운동에 따라 정해지는 기후적 변화의 기준으로, 각 절기는 약 15일 간격으로 구분됩니다. 이는 농업에 적합한 생활 리듬을 제공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농경 사회의 필요에 의해 형성되었습니다.

계절 변화와 농사

각 계절은 다시 6등분되어, 양력 기준으로 한 달에 두 개의 절기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태양의 움직임에 따른 일조량, 강수량, 기온 변화에 맞춰 농사를 짓는 것이 기본 원칙입니다.

현재 기상 상황

2023년 소한 날의 날씨

2023년 소한 날인 오늘은 큰 추위는 없지만, 오후부터 최대 10cm 이상의 눈이 내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상청의 예보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흐린 날씨가 지속되고 기온은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도시 기온(°C)
서울 -4
인천 -1.9
춘천 -10.1
강릉 1.5
대전 -3.6
대구 -3.4
전주 -1.1
광주 -1.0
부산 1.8
제주 6.3

기상 변화 예측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비나 눈이 예상되며, 오후 12시부터 제주도에 비가 시작되고, 오후 3시부터는 전국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중부 내륙과 경북 북부 내륙에서는 많은 눈이 내릴 것으로 보이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소한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소한은 24절기 중 하나로 ‘작은 추위’를 의미하며, 겨울철의 중간 지점으로 가장 추운 시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소한과 대한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소한은 ‘작은 추위’를 나타내며, 대한보다 기온이 더 낮은 날이 많습니다. 이는 한국의 기후가 중국 황하 유역의 기후와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전 글: 쿠쿠밥솥 서비스센터 접수 방법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