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관련 용어는 전문성을 요하는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자동차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와 그 정의를 정리하여 독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자동차 부품 및 장치 용어
시다바리
하체와 차체의 아랫부분을 가리키는 용어로, 높은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 땅에 닿는 부위를 의미합니다.
제네레다
자동차 발전 장치인 알터네이터를 일본식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아쎄이
어셈블리(assembly)의 일본식 발음으로, 조립된 부품 전체를 지칭합니다.
볼 조인트
앞바퀴 양쪽 로워 암과 너클을 연결하는 부품으로, 차량이 주행할 때 로워암의 이동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빳데리
배터리의 일본식 표현으로, 전기적인 에너지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자동차 시스템 용어
등속조인트
Constant velocity joint로, 앞바퀴 구동 차량에서 동력을 균등하게 바퀴에 전달하는 장치입니다.
헷도
실린더헤드(cylinder head)로, 엔진의 뚜껑 역할을 하며 연료의 연소압력을 받는 부품입니다.
대시보드
운전 정보와 계기판, 오디오, 공조 시스템 등이 포함된 앞유리 아래쪽 구조물을 말합니다.
데후
디퍼런셜 기어(differential gear)로, 엔진의 힘을 직각으로 변환하고 커브를 꺾을 때 바퀴의 회전 차이를 허용해주는 톱니바퀴입니다.
자동차 조립 및 정비 용어
비후다
디스트리뷰터(distributor)로, 엔진 점화를 위해 고압을 점화플러그로 보내주는 부품입니다.
엔진미미
엔진 마운트(engine mount)로, 엔진을 차체에 고정하고 진동을 완충하는 고무 부품입니다.
에바
에어컨 증발기(evaporator)로, 냉기를 생성하는 알루미늄 라디에이터입니다.
크락숀
혼(horn)의 일본식 표현으로, 차량의 경적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자동차 전자 및 제어 용어
점화코일
배터리에서 전원을 고압으로 변환하는 장치로, 점화장치와 연결됩니다.
찜바
엔진 부조 또는 불안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로, 공회전 상태에서 비정상적인 엔진 진동을 의미합니다.
쇼바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로, 서스펜션의 진동을 흡수하는 피스톤이 내장된 완충기입니다.
플러그 배선
점화케이블로, 배전기에서 점화플러그에 연결되는 선을 의미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자동차 정비는 언제 받아야 하나요?
정비 주기는 차량의 사용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년마다 혹은 1만 킬로미터마다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엔진 소음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엔진 소음은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정비 불량, 부품 마모, 연료 문제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전문가의 점검이 필요합니다.
점화코일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점화코일은 배터리에서 나오는 전기를 고압으로 변환하여 점화플러그에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은 엔진의 점화를 돕습니다.
자동차 배터리의 수명은 얼마나 되나요?
일반적으로 자동차 배터리는 3~5년 정도 사용 가능하지만, 사용 환경과 관리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에어컨이 작동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에어컨 작동 불능은 냉매 부족, 컴프레셔 고장, 전기적 문제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점검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