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민속놀이: 풍요와 상생을 기원하는 거북놀이



추석은 풍요와 가족의 화합을 기원하는 명절입니다. 이러한 의미를 담아 추석에는 다양한 민속놀이가 연행되는데, 그중 대표적인 놀이가 거북놀이입니다. 거북놀이는 주로 경기도와 충청도 지역에서 전승되었으며, 거북을 상징적인 동물로 삼아 축원과 풍요를 기원하는 의례적인 놀이로 자리잡았습니다.

거북놀이의 유래와 상징

거북놀이의 기원

거북놀이는 수수잎으로 만든 거북이를 통해 마을을 돌며 축원하는 놀이로, ‘모의가장의례(模擬假裝儀禮)’라고도 불립니다. 거북놀이의 기원은 신라 문무왕 때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설고총서』에 따르면 15세 공주가 병에 걸렸을 때 청소년들이 수수잎으로 거북을 만들어 노는 모습을 보고 병이 나았다는 전설이 전해집니다. 이 기록은 문헌적으로 의문이 남지만, 청소년들이 수수잎으로 거북을 만들어 놀이를 했다는 점은 중요한 전승의 근거로 작용합니다.

거북과 소의 상징

거북놀이와 함께 행해지는 소놀음 또한 민속놀이로 유명합니다. 소는 농사의 중요한 동물로, 농사를 도운 소를 기리며 놀이를 통해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를 가집니다. 하지만 왜 거북이 중심적인 동물로 등장했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거북은 장수와 풍요를 상징하는 동물로, 십장생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또한 고려시대 박세통의 이야기를 통해 거북이 보은과 출세, 풍요를 상징하는 동물로 이해되기도 합니다.

거북놀이의 전승과 지역별 특징

경기도와 충청도의 전승

거북놀이는 경기도의 이천, 광주, 평택을 비롯해 충청도의 천안, 예산, 음성 등에서 활발하게 전승되었습니다. 주로 수수잎을 이용해 거북을 만들었는데, 수수잎을 사용하는 전통은 경기도 내륙의 밭농사권과 관련이 깊습니다. 수수잎을 많이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자신의 밭에서 수수잎을 따가면 수확량에 영향을 줄 수 있었지만, 놀이의 전통을 지키기 위해 청소년들이 거북을 만들어 노는 관습이 유지되었습니다.

  • 경기도 이천, 평택: 거북놀이가 가장 활발히 전승된 지역으로, 주로 마을굿에서 시작해 집안굿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보였습니다.
  • 충청도 천안, 예산: 지역마다 특징이 달랐으며, 천안의 직산에서는 마을굿에서 시작해 집안굿으로 이어졌고, 다른 지역에서는 주로 집안굿으로 행해졌습니다.

놀이의 구성과 전개 방식

거북놀이에서 중요한 인물은 ‘질라아비’로, 거북이를 인도하는 역할을 합니다. 수수잎으로 만든 거북은 보통 2명이 들어가는 크기로 만들어지지만, 평택에서는 4명이 들어가는 큰 거북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질라아비는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거북이가 동해에서 여기까지 오느라 지쳤으니 먹을 것을 달라”고 요구하고, 집주인들은 떡이나 음식을 대접합니다.

  • 음식 나눔: 거북놀이에서 모은 음식과 쌀 등은 어려운 이웃과 나누며, 추석의 상생과 나눔의 의미를 실천합니다.

거북놀이의 상징과 의미

풍요와 축원의 의미

거북놀이에서 거북은 풍요를 상징하는 동물로, “천석 거북아 놀아라”, “만석 거북이 들어간다”와 같은 구호를 통해 풍년과 마을의 번영을 기원합니다. 또한 거북놀이에서 나눈 음식과 쌀은 어려운 이웃을 돕는 상생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놀이가 추석 명절에 행해지는 이유는 공동체의 풍년과 화합을 기원하는 전통적인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마무리: 전통을 지키며 나누는 추석의 의미

거북놀이는 단순한 놀이를 넘어 추석의 풍요와 상생을 기원하는 중요한 전통으로 자리잡아왔습니다. 지역마다 조금씩 다른 전승 방식을 가지고 있지만, 거북을 통해 공동체가 하나 되어 풍년을 기원하고, 나눔을 실천하는 전통은 현재까지도 그 의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