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독감 예방접종이 시작되었습니다. 현재 독감 환자가 급증하고 있어, 예방접종 후 최소 2주가 지나야 효과가 나타납니다. 따라서 겨울이 오기 전에 미리 접종받는 것이 좋습니다.
독감이란?
독감의 정의
독감, 또는 인플루엔자는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주로 겨울과 봄에 유행하며, 공기를 통해 전파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급격한 발열, 근육통, 피로감, 목의 통증, 기침, 콧물, 두통 등이 있습니다.
예방 방법
독감의 가장 효과적인 예방 방법은 독감 백신 접종입니다. 다른 백신들과는 달리 독감 백신은 약 6개월간만 효과가 지속되며, 매년 변이하는 바이러스에 맞춰 새로운 백신을 접종해야 합니다.
독감 예방접종 무료 대상자
어린이
생후 6개월부터 만 13세까지의 어린이는 무료로 독감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2차 접종은 초기 접종 후 약 1개월 간격으로 시행해야 하며, 아기수첩에 접종 기록이 없을 경우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접종대상 | 접종 시기 | 준비물 |
|---|---|---|
| 생후 6개월 ~ 만 13세 | 2023.09.20 ~ 2024.04.30 | 아기수첩 |
| 2차 접종 | 2023.10.05 ~ 2024.04.30 | 아기수첩 |
임산부
임산부는 임신 주수에 관계없이 독감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임산부의 경우, 접종 시기와 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접종대상 | 접종 시기 | 준비물 |
|---|---|---|
| 임산부 | 2023.10.05 ~ 2024.04.30 | 산모수첩, 임신확인서 등 증빙서류 |
어르신
65세 이상의 어르신도 독감 예방접종을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연령에 따라 접종 가능 시기가 다르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 접종대상 | 접종 시기 | 준비물 |
|---|---|---|
| 75세 이상 | 2023.10.11 ~ 2024.04.30 | 신분증 |
| 70 ~ 74세 | 2023.10.16 ~ 2024.04.30 | 신분증 |
| 65 ~ 69세 | 2023.10.19 ~ 2024.04.30 | 신분증 |
독감 예방접종 장소
무료 독감 예방접종은 지정병원이나 보건소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소는 이용객이 많아 대기 시간이 길 수 있으므로, 가까운 지정병원에서 접종받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독감 예방접종은 누구나 받을 수 있나요?
무료 대상자는 생후 6개월 이상 어린이, 임산부, 65세 이상의 어르신입니다.
예방접종 후 증상이 나타날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접종 후 이상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에 문의하여 상담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독감 예방접종은 언제까지 가능하나요?
각 대상자의 접종 기간은 다르지만, 대체로 2024년 4월까지 가능합니다.
독감 예방접종은 어디서 받을 수 있나요?
지정병원이나 보건소에서 무료로 접종 받을 수 있으며, 사전 예약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 후 바로 외출해도 되나요?
접종 후에는 가벼운 운동이나 외출이 가능하지만, 과도한 활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독감 예방접종을 통해 건강한 겨울을 맞이하시길 바랍니다.
이전 글: 차상위계층 신청 방법과 혜택 알아보기